<로지스틱 회귀>
- 선형 분리 가능한 데이터 : 직선으로 데이터의 카테고리를 그룹으로 나눌 수 있는 데이터
▶ 로지스틱 회귀, logistic regression : 선형 분리 가능한 데이터의 경계선을 학습을 통해 찾고 데이터 분류하는 방법
- 경계선이 직선, 그래서 이항 분류에 주로 사용됨. 클래스로 분류될 확률을 계산하는 것이 가능


▲ 책에는 69행도 적혀있는데 69행이 있으면 그래프를 덮어서 안나옴,,, (그래프가 2개 그려짐)
▷ 그래서 저게 뭔가 찾아봤음 ( 눈금 스케일 조정하는거던데..ㅎ)
https://matplotlib.org/stable/api/_as_gen/matplotlib.axes.Axes.set_aspect.html
▷ 별짓을 다해도 안나오길래 방법 2가지를 실행해봄
1. 69행 set_aspect을 주석처리한다.
2. scatter 그리기전에 밑에 먼저 그린다^^* 그럼 위에 scatter가 그려지니 가려질일 없겠지!▼

▶ 그러고나면 위의 결과값과 똑같이 나온다...!
▼plt.plot(Xi,Y) > 64행을 없애면 회귀선없이 산점도 그래프만 나온다

'머신러닝 > 개념익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정트리, decision tree (0) | 2023.07.18 |
---|---|
기본 선형 SVM (0) | 2023.07.18 |
머신러닝 기초, 지도학습(분류) (0) | 2023.07.18 |
머신러닝의 기본적인 흐름 및 평가 지표 함수 (0) | 2023.07.17 |
혼동행렬 / 성능평가지표 (0) | 2023.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