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Data Structure2

Algorithm - 개요2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나 방법 - 컴퓨터가 어떤 일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적 방법 1. 슈도코드 - 일반적인 언어로 코드를 흉내 내서 알고리즘을 써 놓은 코드. - 특정 언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전에 알고리즘을 대략적으로 모델링하는데 쓰임 2. 순서도(Flow chart) - 진행 흐름을 순서에 따라 기호나 문자로 나타낸 도표 - 흐름도. 데이터 처리 과정을 표현하는데 사용 -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전 전체적인 흐름과 과정 파악을 위해 필수적으로 거쳐야 되는 작업 1. 정확성 : 얼마나 정확하게 동작하는가? 정확성이 높을 수록 좋음 2. 작업량 : 얼마나 적은 연산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어내는가? 적을수록 좋음. 3. 메모리 사용량: 얼마나 적은 메모리를 사용하는가? 적을수록 좋은 알고리즘. 4. 단.. 2023. 12. 14.
Algorithm - 개요1 08~ 10행은 순차적으로 실행. 08~ 10 처럼 한 문장씩 순서대로 처리되는 구조가 순차 구조 sequential structure 09~10은 if문으로 복합문임. if와 콜론 사이에 있는 조건식이 있고, 조건식 true/false에 따라 실행 흐름이 변경되는 구조를 선택 구조 select structure 라고 함. 알고리즘 흐름은 위에서 아래 긴 네모 안에 작성한 작업이 실행되고 (← 이거 표시는 대입임) 마름모 모양 안에 작성한 조건식에 따라 True /False 중 하나 따라가고 ▶ 조건식에 따라 흐름이 두 갈래로 나뉘는 것을 양갈래 선택 이라고 부름 알고리즘이 흐르는 방향은 조건식이 결정. 형 변환 type conversion 코드 01에서 처럼 input은 문자열을 입력받아 반환함. (그.. 2023. 1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