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39

Python 간단 문제 3가지 1. a-z까지 1개의 영소문자를 정합니다. 그리고 해당 소문자를 맞출때까지 입력해보세요. a=input("숨겨놓은 영소문자를 찾아보세요,:") while a !='q': print("영소문자를 맞추지 못했습니다.") input_next = input("다른 영소문자를 입력해주세요:") if input_next in ['q']: print("맞추셨습니다!") break 2. 로또 번호 생성하기.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서 출력하세요. import random lotto = [] while len(lotto) < 6: number = random.randrange(1,45) if not number in lotto: lotto.append(number) lotto.sort() print(lotto) #for문으.. 2023. 4. 3.
함수 1. 함수 ▶ 함수를 호출(할때 괄호 내부에 여러가지 자료를 넣음 : 이것이 매개변수) > 나오는 결과 : 리턴값 ▶ 함수를 선언(정의) >>>> 함수 호출(불러오기) a. def 함수 이름 (매개변수): def_함수를 정리한다는 의미, 고정 함수이름_함수를 만드는, 함수의 변수 문장 def print_3_times():#함수의 선언(정의)↓ print("안녕") print("안녕") print("안녕")#함수의 선언(정의)↑ print_3_tiems()#함수 호출 b. 매개변수 Parameter, 인수 argument - Parameter : the variable listed inside the parentheses in the function definition. ▶인풋으로 제공되는 데이터 중 하나.. 2023. 4. 3.
문자열, 리스트, 딕셔너리와 관련된 기본 함수 1. min(), max(), sum() : 리스트에 적용할 수 있는 기본 함수 a. min() : 리스트 내부에서 최솟값 / max() : 최대값 / sum() : 값을 모두 더함. ▶ min max 함수를 안쓰고 최소값 최대값 구할때 : b. reversed() : 함수로 리스트 뒤집기 . 요소의 순서 뒤집기 ▶ 함수의 결과가 제너레이터이기 때문에 for 구문 내부에 함수를 곧바로 넣어서 사용 ▶ print(reversed(리스트))) : 로 하면 결과 x ▷ print(list(reversed(리스트))) : 행동할? 실행할? 명령 함수는 따로 적어줘야함. print(a) 했을때 a의 값이 나오지만 이거는 제너레이터라서 안됨. : 결과값을 되돌려주는게 아니라 객체를 되돌려주기 때문에. #리스트 선언.. 2023. 4. 2.
while 반복문 A. while 반복문 A. while 불 표현식: 불 표현식이 True이면 문장을 계속 반복 ▶ '1'은 참이니까 되는데 '0'은 거짓이라 안됨. '0'이외의 사용은 True. #반복 변수를 기반으로 반복하기 i=0 while i 2023.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