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39

제너레이터 1. 제너레이터 ▶ 이터레이터를 직접 만들때 사용하는 코드, ▶ 여러개의 데이터를 필요할때마다 만들어내는 객체 ▶ yield 키워드를 사용해서 만듦 ▷ return 처럼 값을 돌려줌 ▷ return은 멈추지만 yield는 잠깐 멈추면서 다음 값을 가지고 있다가 next()가 호출하면 나간다. ※ return은 1번만 돌려받는데 yield는 여러번 나누어서 돌려받을 수 있음. 2023. 4. 5.
파일처리 1. 파일 열고 닫기 a. open() : 파일 열때 ▶ 파일 객체 = open(문자열: 파일 경로, 문자열: 읽기 모드) 모드 실행 w write 모드 (새로쓰기) ▷ 없으면 새로 만들고 있으면 덮어씀 a append 모드 (뒤에 이어서 쓰기 모드) r read 모드(읽기 모드) b. close() : 파일을 닫을때 / 항상 열고나면 닫아야혀 ▶ 파일객체.close() 2. with 키워드 2-a. 프로그램이 길어지면 열어놓고 닫지 않는 실수를 할 수 있음. 이런 실수를 방지하기 위한 키워드. ▶ with open(문자열:파일 경로, 문자열:모드) as 파일 객체 : 문장 3. 텍스트 읽기 3-a. 파일 객체.read() ▷ 들여쓰기 잘하고.... ▷ 한글 불러오려면 encoding="UTF-8"를 파.. 2023. 4. 4.
람다 1. 콜백 함수 : 함수안에서 다른 함수를 부르는 것, 매개변수를 함수로 사용함 a. 매개변수로 함수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표준함수 a-1. map() : 리스트의 요소를 함수에 넣고 리턴된 값으로 새로운 리스트를 구성해주는 함수, a-2. filter() : 리스트의 요소를 넣고 리턴된 값이 True인 것으로 새로운 리스트를 구성해주는 함수. 2. lambda 매개변수: 람다. 간단한 함수를 쉽게 선언하는 방법. ▶def 키워드로 선언했던 함수를 lambda로 바꾸고 return키워드를 따로 쓰지않아도됨. ▶람다는 매개변수에도 곧바로 넣을 수 있음. #변수 선언 list_input_a = [1,2,3,4,5] #map()함수를 사용 output_a = map(lambda x:x*x, list_input_.. 2023. 4. 4.
튜플 1. 튜플 : 리스트와 비슷한 자료형, (데이터, 데이터, 데이터, 데이터) a. 한 번 결정된 요소는 바꿀 수 없다. b. 요소를 하나만 가지는 튜풀이라면 쉼표를 넣어 선언 ex. tuple_a=(273,) c. 괄호 없는 튜플 : 괄호를 생략해도 튜플로 인식할 수 있음. 키값에만 가로를 해도 ㄱㄴ #괄호가 없는 튜플 tuple_test = 10,20,30,40 print("#괄호가 없는 튜플의 값과 자료형 출력") print("tuple_test:", tuple_test) print("type(tuple_test):", type(tuple_test)) print() #괄호가 없는 튜플 활용 a, b, c = 10, 20, 30 print("#괄호가 없는 튜플을 활용한 할당") print("a:",a).. 2023.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