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위(range)
A. range() : 범위, for반복문이랑 자주 사용됨. 숫자로 이루어진 범위를 만들때 a-1. range(A) ▶ A는 숫자, 0 ~ A-1 a-2. range(A, B) ▶ A: start B:end, A~B-1 a-3. range(A, B, C) ▶ A: start B:end C:step, A~B-1, C(B-1-A) ▷ range의 범위의 값은 list 함수로 변경하면 확인 가능함. ▷ 그래서 변수로 리스트(range(범위)) 잡아줘서 출력하는거.너무 길어지니까. a = range(5) print(a) = range(0,5) list(range(5)) >>> [0,1,2,3,4] ▶ 매개변수 내부에 수식을 사용하기도 함. ▶ print(list(range(0,10))) 처럼 한줄로 쓰기 가능(..
2023. 3. 29.
리스트
* list, 리스트 : 대괄호 내부에 여러 종류의 자료형으로 요소(element)가 나열되어 있는(구성되어 있는) ex) [1, 2, 3, 4] ["안", "녕", "하", "세", "요"] [ 273, 12, "문자", True] ▶ 문자에서 사용된 것 처럼 요소들의 각 주소를 index, 인덱스라고 부릅니다. ▶ 요소 변경을 원하면 변경을 원하는 인덱스 번호를 기입하고 요소 적기 ex. list_a[0]="이거" = "재할당"이라고함 A. 대괄호 안에 음수를 넣어 뒤에서 부터 요소 선택 가능(문자인덱스와 동일) B. 접근 연산자를 이중으로 사용 가능(문자열에서만) C. 리스트 안에 리스트도 사용 가능 ※IndexError : 리스트의 길이를 넘는 인덱스로 요소에 접근하려고 할때 발생하는 에러 D. ..
2023. 3.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