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DsP

ADsP 35회 기출문제 정리

by ADELA_J 2023. 8. 14.

<1과목. 데이터 이해>

09. '문자, 기호, 음성, 화상, 영상 등 상호 관련된 다수의 콘텐츠를 정보 정리 및 정보통신 기기에 의하여 체계적으로 수집 축적하여 다양한 용도와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정리한 정보의 집합체'를 무엇이라 하는가? 데이터베이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ㅠ.... 미쳤나봐

 

<2과목. 데이터 분석 기획>

06. 기업의 '도입형' 분석 수준 진단 결과 항목이 아닌것은?

1) 조직 및 인력 2)분석업무 3)분석기법 4)관리 목표 

'도입형'은 기업에서 활용하는 분석 업무 및 분석기법 등은 부족한 상태지만, 조직 및 인력 등 준비도가 높은 유형

 

07. 분석과제 접근방법 중 상향식 접근 프로세스 절차로 옳은 것은?

1) 프로세스 분류 > 프로세스 흐름 분석 > 분석 요건 식별 > 분석 요건 정의

 > 문제 정의 자체가 어려운 경우 데이터 기반의 문제 재정의 및 해결방안을 탐색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방식

 

<3과목. 데이터 분석>

01. 회귀분석에서 결정계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결정계수의 값은 0에서부터 1사이의 값을 갖는다. 

2) 결정계수의 값이 클수록 추정된 회귀식의 설명력이 높다.

3) 종속 변수와 독립변수 상의 표본 상관계수와 값이 같다.

> 단순 선형회귀모형에서 결정계수는 상관계수 제곱의 관계가 성립한다.

4) 총 변동 중에서 회귀선에 의해 설명이 되는 변동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10. 군집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비 계층적 군집분석 기법의 경우 분석자가 사전 지식 없이 군집의 수를 설정하기 때문에 군집 결과가 잘 나오지 않을 수 있따.

2) 논리성과 안정성을 검증하기가 지도학습에 비교하여 어렵다.

3) 안정성 검증 방법으로 지도학습과 동일한 교차 검증을 이용한다.

 > 지도학습과 비지도학습(군집분석)은 동일한 교차검증을 이용하지 않는다.

4) 군집분석은 이상치 자료에 민감하다.

 

11. SOM 정의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입력층과 출력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2) 한 개의 입력층과 한 개의 출력층을 가진다.

3) 입력층과 출력층이 부분 연결되어 있다.

> 입력층과 출력층이 완전 연결되어있다.

4) 뉴런들은 승자 뉴런이 되기 위해 경쟁하고 오직 승자만이 학습한다.

 

12. 시계열 자료의 정상성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평균이 일정하다.

2) 분산이 시점에 의존하지 않는다.

3) 자료가 추세를 보일 때에는 변환을 통해 비정상 시계열을 정상 시계열로 변환할 수 있다.

 > 비정상 시계열을 정상 시계열로 전환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4) 공분산은 단지 시차에만 의존하고 시점 자체에는 의존하지 않는다.

* 정상성을 만족하는 3가지 조건 ( 만족해야 시계열 데이터)

 - 평균값은 시간t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 분산값은 시간t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 공분산은 시간층에 의존하지 않고 오직 시차에만 의존한다. 

 

14. 군집의 수를 미리 지정하지 않아도 탐색적 기법에 적합한 군집방법은?

1) SOM 2) K-평균 군집 3)계층적 군집 4) 혼합분포 군집 

 > 계층적 군집 분석은 사전에 군집의 수를 설정하지 않는다.

 

15. 혼합분포 군집의 특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확률분포를 도입하여 군집을 수행하는 모형-기반의 군집 방법이다.

2) 군집을 몇 개의 모수로 표현할 수 있다.

3) EM 알고리즘을 이용한 모수 추정에서 데이터가 커지면 수렴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

4) 군집의 크기가 작을수록 추정의 정도가 쉬워진다.

 > 군집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추정의 정도가 떨어지거나 어려울 수 있다.

 

17. 분류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어떤 사실들을 분류하고, 범주화하고, 등급으로 나눈다.

 > 새롭게 나타난 현상을 검토하여 기존의 분류, 정의된 집합에 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2) 같은 아이템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분석이다. >연관분석

3) 이질적인 모집단을 동질성을 지닌 그룹별로 세분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 군집

4) 장바구니 분석이라고 불린다 > 연관분석

 

18. 로지스틱 회귀에 대한 특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반응변수가 범주형일 때 적용되는 회귀분석이다.

> 종속변수가 범주형이고 그 사건이 발생할 확률을 예측하는 것.

2) 종속변수가 비율척도일 때 적합하다.

3) 최소 제곱법으로 분석모형을 추정한다.

4) 로지스틱 회귀계수는 해당 변수가 1 증가함에 따른 오즈로 해석이 불가하다. 

 >  로지스틱 회귀계수 : 해당 변수가 1증가함에 따른 오즈의 변화량 의미

 

25. 여러 대상 간의 거리가 주어져 있을 때, 대상들을 동일한 상대적 거리를 가진 실수공간의 점들로 배치시키는 차원 축소 기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다차원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 MDS)

 > 객체간 근접성을 시각화하는 통계기법. 군집분석과 같이 개체들을 대상으로 변수들을 측정한 후 개체들 사이의 유사성/비유사성을 측정하여 개체들을 2차원 공간상에 점으로 표현하는 분석방법. 데이터 속에 잠재해 있는 패턴과 구조를 찾아내고 그 구조를 소수 차원의 공간에 기하학적으로 표현한다. 거리계산에는 유클리드 거리행렬 활용 

스트레스값으로 0~1사이의 범위로 0에가까울수록 좋은 모형

유클리드 거리행렬

 

29. 단위 시간 안에 어떤 사건이 몇 번 발생할 것인지를 표현하는 이산 확률 분포를 무엇이라 하는가? 포아송분포

>단위시간당, or 단위공간당 사건 발생 횟수에 적용되는 분포. 이산형 확률변수(0이 아닌 확률값을 갖는 실수값)에서 사용

 

30. 두 군집 사이의 거리를 각 군집에서 하나씩 관측값을 뽑았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거리의 최솟값으로 측정한다. 최단 거리를 사용할 때 사슬 모양으로 생길 수 있으며 고립된 군집을 찾는데 중점을 둔 방법은 ? 최단 연결법 또는 단일 연결법

> 계층적 군집분석 중 최단연결법. 최단 거리를 이용해 군집형성. 사슬 모양의 군집이 생길 수 있다.

 

 

 

'AD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sP 1과목 데이터 이해 정리  (1) 2023.08.17
ADsP 31회 기출문제 정리  (0) 2023.08.16
ADsP 34회 기출문제 정리  (0) 2023.08.15
ADsP 32회 기출문제  (0) 2023.08.15
ADsP 33회 기출문제 정리  (0) 2023.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