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학습>
fit() : 머신러닝 모델 학습을 위해
predict() : 학습된 모델의 예측을 위해
▷ 분류(Classification)과 회귀(Regression)의 다양한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사이킷런 클래스는
이 두가지를 이용해 간단하게 학습과 예측 결과 반환 가능.
▶ 분류 알고리즘 구현한 클래스 : Classifier + 회귀 알고리즘을 구현한 클래스 : Regressor
▷ 합쳐서 Estimator 클래스 : 지도학습의 모든 알고리즘을 구현한 클래스를 통칭
cross_val_score(), evaluation 함수, GridSearchCV 등 하이퍼 파라미터 튜닝을 지원하는 클래스
: Estimator 인자로 받음.
▷ 인자로 받은 요고에 대해 이 함수 내에서 fit(), predict()를 호출해서 평가하거나 하이퍼 파라미터 튜닝해야함
Estimator ( 학습 : fit() , 예측: predict() ) | |
분류(Classifier) | 회귀(Regressor) |
분류 구현 클래스 DecisionTreeClassifier RandomForestClassifier GradientBoostingClassifer GaussianNB SVC |
회귀 구현 클래스 LinearRegression Ridge Lasso RandomRorestRegressor GradientBoostingRegressor |
<비지도학습>
- 차원 축소, 클러스터링, 피처 추출(Feature Extraction) 등을 구현한 클래스도 fit()과 transform()을 적용.
▷ 하지만 fit은 학습 ㄴㄴ 입력 데이터의 형태에 맞춰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사전 구조를 맞추는 작업
: fit 으로 사전 구조 맞추고 transform()이 데이터의 차원 변환, 클러스터링, 피처 추출 등은 얘가 함
▶ 두 개가 합쳐진 fit_transform()도 있음. 얘는 나중에 비지도학습에서 좀 더 꼼꼼히
'머신러닝 > 개념익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신러닝 scikit-learn model selection 모듈 (0) | 2023.08.01 |
---|---|
머신러닝 scikit-learn 주요 모듈 (0) | 2023.07.30 |
머신러닝 scikit-learn, 머신러닝 프로세스 간단히 알고가기 (0) | 2023.07.21 |
머신러닝 하이퍼파라미터 (0) | 2023.07.20 |
머신러닝 같은 데이터로 scikit-learn 구현해보기 (0) | 2023.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