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자료)를 기능과 역할에 따라 Date type(자료형)에 따라 구분되어있음
a. String(문자열) : 제목, 내용 같은거 ex.하이
b. number(숫자) : 가격, 점수 등 ex. 52
c. boolean(불) : 하나의 값을 갖는것(로그인 상태같은거) ex.True, False
▶ 자료형(Date type)을 구분할 때 쓴느 함수 : type() / str, int(integer, 정수) 등으로 출력됨
*문자열 : 따옴표로 감싸 입력한 모든 것
print("안녕하세요")
print('안녕하세요')
▶ 큰따옴표든 작은 따옴표든 같은 출력값이 나옴
A. 문자열 내부에 따옴표를 쓰고 싶을 때
a. 큰/작은 따옴표를 섞어서 사용해야
▶ 앞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같은 따옴표를 하나로 인식하기 때문에(문자열 인식이 명확하게 되지 않아서)
print("'안녕하세요'라고 말했다")
print('"안녕하세요"라고 말했다')
※ SyntaxError : 자주 나오는 오류 중 하나, 문장 에러. 명확하게 쓰인 부분이 없는지 다시 확인하자.
B. 이스케이프 문자 : 역슬래시(\)
b-1. \" : 큰 따옴표
b-2. \' : 작은 따옴표
b-3. \n : 줄 바꿈 (new line)
b-4. \t : 탭 (tap)
b-5. \\ : 역슬래시
b-1~5. 혼합해서 연습
print("\'배고파\'라고 그는 생각했다.\n그래서 그는 냉장고로 발걸음을 옮겼다\n\t냉장고앞에는무엇인가가로막고있어\n아무것도먹지못했다\\슬프네")
C. 여러 줄 문자열 : 따옴표 세번을 반복
▶ Enter를 사용해서 줄 바꿈이 가능해짐 : 줄을 바꾼대로 출력됨
(줄을 바꿨지만 줄바꿈을 원치 않을 때는 역슬래시(\)이용 :진짜 줄바꿈이 아니야 라고 알려줌)
print("""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
D. 연산자
d-1. 연결 : + , 문자열끼리만 연결됨 ex.print("안녕"+1) : 안됨, 1은 숫자니까 1을 문자열로 사용해야함
※ TypeError : 같은 종류의 자료형끼리만 연결하라는 에러 ex. 문자열+문자열
d-2. 반복 : * , ex. print("Hi" *3)
E. 인덱싱(indexing) : 문자를 한자한자씩 인식하는거
e. index number, 주소값 : [ ] 이용해서 문자열의 특정 위치에 있는 숫자.
e-1. 파이썬은 0부터 시작함(zero index), 마이너스(-)는 뒤에서부터 선택 가능
e-2. 슬라이싱 : 문자열의 범위를 선택할 때. [n:n]. 뒤의 값을 비우면 마지막 글자까지, 앞의 값을 비우면 첫글자부터
▶ 뒤의 값은 바로 앞 숫자까지만 적어야함 ex. 주소값 3번의 글자까지 원한다면 4
print("안녕하세요"[2:4])
※IndexError(index out of range) : 리스트/문자열의 수를 넘는 요소/글자를 선택할 때 발생하는 오류
F. 문자열 길이 구하기 : 길이 구할때 쓰는 함수, len()
'Python > 개념익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 자료형과 if 조건문 (0) | 2023.03.22 |
---|---|
숫자와 문자열 (0) | 2023.03.21 |
변수와 입력 (0) | 2023.03.20 |
숫자와 연산자 (0) | 2023.03.20 |
230317_파이썬 기초 (0) | 2023.03.19 |